일반 직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다들 국민연금이라고 하는 연금제도에 대해서 알고 계실꺼에요. 이런 국민연금은 나중에 직장에서 일할 수 없는 나이가 되었을 때 연금을 지원하는 제도인데요.
이때 이런 국민연금은 최소 10년 이상 연금보험료를 납부했을 경우, (2023년 기준) 65세 이후부터 매월 지급 받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그때 이것 관련해서 본인이 받게 될 대략적인 예상수령액이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국민연금 최소 기준 최대 기준에 맞춰 각자 최소금액, 최대금액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해 이 금액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우선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부터 알아보도록 할께요. 이 내용은 NPS 국민연금 노후준비서비스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검색을 통해 이곳에 들어오신 다음에, 초기 화면 위쪽에서 재무진단이라고 써진 곳에 마우스를 움직여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아래에 세부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기초연금 모의계산이라고 써진 버튼을 클릭해보세요.

그럼 다음 페이지에서 이렇게 계정 로그인을 하게 됩니다. 이때 계정 로그인은 간편 인증, 혹은 공동인증서 혹은 카카오페이 등으로 할 수가 있으니 이 중에서 본인에게 맞는 인증 방법으로 로그인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렇게 계정 로그인을 하게 되면, 그 다음부터 구체적인 모의계산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때 초반엔 이렇게 가구 유형, 거주지, 근로소득 등에 대한 사항을 쓰게 되어 있어요. 이때, 소득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잘 모르겠다면 오른쪽에 있는 파란색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또 후반엔 이자소득, 연금소득, 공적이전소득, 무료임차소득 같은 다양한 다른 소득에 대한 내용 역시 보이는 것 같네요. 이런 식으로 세부 내용을 다 적고 마지막에 결과조회 버튼을 누르면 본인 국민연금 예상금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최소금액 최고금액 알아보기



다음으로 본인의 소득월액 평균값(소득금액), 연금보험료, 가입기간을 바탕으로 해서 국민연금 최소금액, 최고금액이 어떤 식으로 설정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면 최소 금액은 (40년 납입 기준) 33만원이고, 최대 금액은 165만원 정도가 되는 것 같네요.

이때 이 금액은 본인의 연금 가입 날짜, 물가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가볍게 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 위에 있는 표 내용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이 내용을 참고해보시길 바래요.